조선왕조500년

제4대 왕 세종 (1418~1450년)

1- 2021. 10. 6. 15:50
반응형

조선 최고의 성군 세종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은 3대 왕 태종과 원경왕후 민 씨의 셋째 아들로 1418년 태종의 첫째 아들 양녕대군이 폐세자가 됨에 따라 왕세자로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22살의 나이로 왕위에 오릅니다. 즉위 초기에는 태종이 4년강 상왕 자리에 머무르며 인사와 군사권을 돌보며 정치적으로 잘 닦아 놓은 기반 덕분에 세종은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 다방면으로 업적을 쌓으며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성군이 됩니다. 세종의 재위 기간은 약 32년으로 조선의 27명의 왕 중에서 7번째로 재위 기간이 깁니다. 굉장히 오랜 기간 왕위에 머물렀는데 현재까지도 수많은 후손이 세종을 존경하고 최고의 성군이라고 칭송하고 있습니다. 세종은 위대하고 훌륭한 왕이었습니다. 위대하고 훌륭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세종의 모든 업적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탄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교 정치의 실현을 위해 노력한 세종의 업적

세종은 오랜 기간 왕위에 머무르며 인과 덕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 유교에서 이상으로 삼는 정치사상인 왕도 정치를 하며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수많은 업적을 탄생시킵니다.

1) 집현전 설치: 궁중 안에 정책 연구기관으로 집현전을 설치하고 집현전 학사들을 일반 관리보다 우대하였습니다. 집현전 학사들은 학문 연구와 경연에 참여하여 국왕의 통치를 자문하기도 하였으며, 이 기능은 홍문관으로 이어집니다.

2) 의정부서사제의정부 서사제: 6조에서 올라오는 모든 일들을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이 중심이 되는 의정부에서 논의하고 합의된 사항을 왕에게 결재받는 체제로 바꿔 왕의 권한을 의정부에 많이 넘겨주고, 훌륭한 재상들을 등용하여 정치를 맡기고자 했습니다. , 민감한 부분인 인사, 군사 문제는 직접 관여했습니다. 아버지 태종의 6조 직계제와는 반대로 의정부서사제를 통해서 왕권과 신권의 조화, 이상적인 유교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썼습니다.

3) 최초의 여론조사: 세종은 중요한 사안의 결정에는 백성의 여론을 존중하여 17만 호에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조정의 신하는 물론이고 지방의 촌민에게도 의견을 들으려 했습니다. 나라의 살림을 꾸려나가려면 세금이 중요한데 공법상정소에서는 풍흉에 따라 9등급 전제상정소에는 토지 비옥도에 따라 6등급으로 나누어 공평한 과세를 추구했습니다.

4)노비 지위 개선: 조선은 철저한 신분제 사회였기 때문에 노비는 사람 대우를 받지 못했습니다. 세종은 이런 노비에게 재인, 화척 등을 신백정이라 하며 양민의 신분으로 상승시켰으며 주인이 노비를 마음대로 처벌하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원래 노비들의 출산휴가는 7일 정도였으나 다시 논, 밭에 나와 일하기에 부족한 일수라고 생각한 세종은 출산휴가를 100일로 연장했습니다. 또 노비들은 일하다가 논, 밭에서 아이를 낳는 일이 종종 있었는데 세종은 출산 30일 전부터 일손을 놓도록 했습니다. 지금은 너무 당연한 일이지만 조선 시대라는 상황에서는 파격적인 대우였습니다.

5) 문화발전: 세종은 큰 나라에 의존하는 것을 싫어하고 자주적인 나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세종의 업적에는 직접 만든 최초의 역법서, 자주적으로 시간을 계산하는 칠정산이 있습니다. 전근대 사회에는 하늘에 올리는 의례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일식과, 월식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관측에 오차가 생기고 예상시간과 정말 달라져 버리는 일도 발생합니다. 그 당시 중국의 기준시를 썼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맞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래서 서울 중심으로 만든 달력이 칠정산입니다. 칠정이란 해, ,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일곱 개의 별을 의미합니다. 칠정산은 아주 완벽하고 자주적인 조선 최초의 역법서입니다. 세종은 이외에도 농사직설, 향약집성방 등 우리나라 독자적인 저서를 만듭니다.

전 세계 유일무이하게 창시자, 반포일, 창제원리까지 잘 알고 있는 한글을 사용하고 있는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입니다. 당시 지배층은 글을 읽고 쓰는 것이 자신들 만의 특권이라고 여겼습니다. 세종대왕은 그것을 원치 않았고 백성 누구나 익히고 쓸 수 있으며 책을 읽고 올바르게 살길 바라는 마음, 백성들이 교화하길 바라고 정보를 쉽게 얻도록 하기 위해 한글을 창제합니다.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훈민정음을 창조한 것입니다. 세종은 한글을 보급하기 위해서 용비어천가(이 씨 찬양),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등의 책을 출판하였고 유학자 정인지 등을 통해 훈민정음 해설서를 보급하도록 했습니다. 정인지의 글에는 아래와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슬기로운 사람은 하루아침 만에 깨우치고, 비록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세상 모든 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세계 유일한 문자 바로 훈민정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