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왕조500년

제11대 왕 중종 (1506~1544년)

by 1- 2021. 10. 6.
반응형

연산군의 이복동생 진성대군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과 계비인 정현왕후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이복형인 연산군의 폭정으로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연산군과는 12살 차이로 진성대군이 7세일 때 연산군이 왕으로 즉위했고, 당시 연산군은 아들이 있었기 때문에 왕위 계승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연산군의 폭정으로 조용히 지내왔습니다.

 

꼭두각시 임금의 인왕산 치마 전설

연산군의 폭정이 계속되자 반대파였던 박원종, 유순정, 성의안을 중심으로 반정이 일어납니다. 그때 중종의 나이 19세였습니다. 하지만 중종은 한 번도 왕위를 계승할 수업을 받은 적이 없었습니다. 폭군 형을 대신해 어쩔 수 없이 왕위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신하들을 위한 왕이 됩니다. 중종의 아내는 연산군 처남 신수근의 딸 단경왕후입니다. 중종반정이 일어나기 전 신수근에게 반정에 가담할 것을 권유했지만 연산군을 배신할 수 없다며 거절하게 됩니다. 결국 반정이 성공적이었고, 신수근의 딸인 단경왕후는 어쩔 수 없이 궁에서 쫓겨나게 됩니다. 쫓겨난 단경왕후는 중종을 그리워하며 인왕산 바위에 치마를 펼쳐 놓았으나 중종은 쫓겨난 다음 날 새로운 왕비를 들였다고 합니다.

 

중종이 등용한 급진개혁파 조광조

중종은 반정공신에 의해 왕이 되어 그들을 위한 왕이었지만 반정의 주역인 인물들이 순차적으로 죽게 되면서 반정공신의 세상은 그리 오래가지 못합니다. 왕위에 오른 지 10년 꼭두각시 임금의 오명을 벗고 제대로 정치를 해보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나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중종은 자신을 보필하며 훈구파를 견제할 인물이 필요했습니다. 그가 바로 조광조입니다. 조광조는 과거에서 장원으로 합격하여 사림파의 핵심 인물이었습니다. 조광조는 성리학 이념을 실천하고 개혁정치를 펼치고자 했습니다.

 

성리학과 정치의 조화를 꿈꾸는 조광의 개혁

왕도정치: 경연의 강화와 언론 활동의 활성화로 왕도 정치를 추구했습니다.

소격서 폐지:성리학을 중시한 사림파는 불교, 도교 모두 이단이라고 생각하고 배척합니다. 소격서는 도교와 관련된 제사를 지내는 곳이고 이것을 폐지하고 주장합니다.

향약 보급과 현량과 실시: 소학과 향약을 전국적으로 보급하여 향촌을 성리학적으로 교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지방에 있는 사림의 영향력을 강화했습니다. 당시 과거제도가 있었지만, 시험을 보지 않고 품성이 좋은 사람을 추천하여 관리로 채용하는 천거제를 실시했습니다. 추천을 통해 사람을 모으고 시험을 치른 후 등용하는 방법입니다. 등용된 대부분은 사림파였습니다.

위훈 삭제: 거짓으로 공을 세운 정국공신을 적발하여 공신 명단에서 삭제하자고 건의했으며, 훈구세력의 방납 폐단을 지적하고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조광조

 

중종에게 버림받은 조광조 기묘사화

조광조는 유교적 도덕 정치를 강조하며 왕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중종에게 경연을 통해 공부에 힘쓸 것을 강조했습니다. 처음에는 중종도 잘해보려 하였으나 끝이 없는 공부에 중종은 지쳐갑니다. 그렇게 조광조의 개혁 방법이 지나치게 이상주의적이고 조급하게 서둘러 중종의 신임을 잃어버립니다. 개혁정치 내용 중 위훈 삭제를 통해 훈구세력을 견제하자 훈구세력의 반발을 사게 됩니다. 훈구세력은 조광조를 물리치기 위해 나뭇잎에주초위왕이라 쓰고 조광조가 왕이 되고자 한다는 모함을 합니다. 중종은 반정을 통해 왕이 되었기 때문에 반정에 매우 민감했습니다. 결국, 조광조는 파직되고 귀양을 간 후 죽고, 남아있던 많은 사림파가 피해를 보게 되었습니다. 결국, 조광조와 사림 세력은 중종의 변심으로 목숨을 잃게 되고, 이 사건이 기묘년에 일어났다고 하여 기묘사화라고 부릅니다. 기묘사화 이후 향약이 폐지되고소학이 일시적으로 금서가 되었습니다. 개혁을 꿈꿨던 조광조는 왕의 신임을 잃고 목숨도 잃게 되면서 중종은 개혁 의지도 잃게 되었습니다. 재위 기간이 38년이나 되는 왕이지만 조광조의 개혁 이외는 별다른 업적이 없는 것이 증명해 주는 것 같습니다. 조광조를 통해 너무 급진적인 개혁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교훈을 얻습니다.

반응형

'조선왕조50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대 왕 명종 (1545~1567년)  (0) 2021.10.06
제12대 왕 인종 (1544~1545년)  (0) 2021.10.06
제10대 왕 연산군 (1476~1506년)  (0) 2021.10.06
제9대 왕 성종 (1469~1494년)  (0) 2021.10.06
제8대 왕 예종 (1468~1469년)  (0) 2021.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