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민 무수리의 아들, 왕이 되다.
조선 19대 임금 숙종과 무수리 출신 숙빈 최 씨의 아들로 이복형 경종의 후계자로 왕세자에 책봉되어 노론의 지지를 기반으로 왕위에 오릅니다. 조선의 최장수 왕, 재위 기간 최장 기록을 세운 왕으로 52년 재위하고 83세의 나이로 승하합니다.숙종이 살아있을 때 이복형인 경종이 숙종의 장자로서 오랫동안 왕세자 자리를 지켰기 때문에 영조는 후계자로 지목되지 않았습니다. 영조는 어릴 때부터 왕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 생각하고 궁궐 밖에서 백성들과 함께 어울려 자랍니다. 그런 덕분인지 영조는 검소하고 백성을 아끼는 왕이었습니다. 영조는 즉위 초반부터 엄청난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의 어머니가 궁녀들의 옷을 빨아주는 무수리였기 때문입니다. 조선은 유교 사회이기 때문에 왕의 소생 중에서도 장남과 차남이 차별받고, 이복형 경종의 어머니 장희빈은 중인, 영조의 어머니는 천민 출신이었기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입니다. 영조는 오히려 신하들에게 빈틈을 보이지 않기 위해 모범적인 행동을 하며 콤플렉스를 극복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영조를 반대하는 사람들
1) 1728년 이인좌의 난: 선왕이었던 경종이 연잉군(영조)이 올린 게장과 생감을 먹고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영조 재위 기간 내내 괴롭혔습니다. 경종의 세력인 소론을 중심으로 경종에 대한 독살설이 널리 퍼졌습니다. 어머니가 천민이라는 콤플렉스보다 이복형 경종을 죽이고 왕이 된 역모라는 것이 엄청난 트라우마였을 겁니다. 영조 즉위 4년에 소론의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난을 일으키게 되는데 바로 이인좌의 난입니다. 특히 충북 청주에 살던 남인 이인좌는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개입된 독살이며 영조는 숙종의 아들이 아니라고 주장을 합니다. 이인좌의 난은 6일 만에 진압되었지만, 영남지역이 조선 후기 정치에서 완전히 소외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영남지방 사람들은 영조 재위 기간 동안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도 없게 됩니다.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있던 영조에게 이인좌의 난은 충격적인 사건이었으며 이후 강경파 소론 세력들을 멀리하게 됩니다.
2)1755년 나주괘서 사건: 영조 즉위 31년 어느 날, 전남 나주에 이상한 벽서가 붙었는데 작성자는 소론이었던 윤지였습니다. 윤지는 영조의 정통성을 부정하며 나라를 비방하는 글을 써서 벽에 붙입니다. 이인좌의 난이 일어난 지 25년이나 지났는데 또다시 영조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는 자가 나타났습니다. 서울로 압송해 감옥에 갇히고 소론 세력은 더 재기할 힘을 잃어버립니다.
영조의 업적 – 백성들을 위한 정치
조선 시대의 노동력에는 크게 군 복무의 의무를 지닌 군역과 노동력 제공하는 요역으로 구분이 되어있었습니다. 군역은 16세 이상 60세 이하의 양인에게 부과되는 것이고 군포 2필을 바치는 것으로 군역을 대신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병역기피 현상이 너무 심해져 백성들의 피해가 심해지자 영조는 개혁을 실행합니다. 군포를 베 2필에서1 필로 내게 해 세금을 절반으로 줄여준 것입니다. 영조의 세법 개정을 ‘균역법’이라고 합니다. 세금이 절반으로 줄어 부족한 세금은 지주들에게 토지 부과세 등을 받아 충당했습니다.
금지옥엽 늦둥이의 탄생
영조는 정성왕후 서 씨로부터 후사를 얻지 못했고, 정성왕후가 죽은 뒤 15세 소녀 정순왕후 김 씨를 왕비로 맞았지만, 당시 영조의 나이 60세로 후사를 보기 어려웠습니다. 영조는 정빈 이 씨와 사이에서 효장세자를 얻었으나 10세가 되던 해 병으로 죽었습니다. 영조는 귀한 아들을 가슴에 묻어야 했고 후계자 선정이 확정되지 않아 불안한 상태였습니다. 그러다가 41세의 나이로 영빈 이 씨와 사이에서 귀한 아들을 얻게 되었으니 바로 이선, 사도세자입니다. 영조는 이선이 태어난 다음 해에 세자로 책봉합니다. 이선은 3살 때부터 글을 읽고 글씨도 잘 쓰고 영특하여 영조는 이선이 자신의 한을 풀어줄 후계자라고 믿으며 큰 기대를 했습니다. 하지만 아들 이선은 성장하면서 영조와 사이가 멀어지기 시작합니다. 자신의 꿈을 이루어 줄 것 같던 세자가 공부보다 무예에 관심을 가지는 것에 큰 실망을 합니다. 대리청정은 왕을 대신해 나라를 돌보는 것으로 세자 15세부터 14년 동안 대리청정을 합니다. 세자의 대리청정 기간에 두 사람의 관계는 더 아버지와 아들이 아니었고 이래도 욕먹고 저래도 욕먹는 기간이 14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결국 세자는 14년 동안 서서히 미쳐가고 아버지의 냉대는 갈수록 심해졌습니다. 세자의 비행은 집안의 문제로만 끝나지 않고 영조는 아들을 뒤주에 가두어 죽입니다.
'조선왕조50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3대 왕 순조 (1800~1834년) (0) | 2021.10.07 |
---|---|
제22대 왕 정조(1776~1800년) (0) | 2021.10.07 |
제19대 왕 숙종 (1623~1649년) (0) | 2021.10.07 |
제16대 왕 인조 (1623~1649년) (0) | 2021.10.07 |
제15대 왕 광해군(1608~1623년) (0) | 2021.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