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

제8대 왕 예종 (1468~1469년) 13개월 짧은 재위 기간, 징검다리 왕 예종은 7대 왕 세조와 정희왕후 윤 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해양대군으로 불리다가 첫째아들 의경세자가 요절하자 왕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1468년 세조가 승하하고 예정의 나이 19세 성년이 되기 전 왕위에 오르게 되자 어머니 정희왕후가 수렴청정합니다. 예종은 1460년 11세에 한명회의 딸 장순왕후 한 씨와 혼인하고 이듬해에 아들 인성 대군이 태어나면서 12세에 최연소 아버지가 됩니다. 그러나 장순황후가 아들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했고, 아들 인성대군 또한 3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합니다. 둘째 부인으로 한백륜의 딸 안순왕후와 혼인해 아들 제안대군을 낳았습니다. 세조 재위 기간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함경도 출신을 수령으로 임명하는 것을 제한하고 한양 출신.. 2021. 10. 6.
제7대 왕 세조 (1455~1468년) 형제와 조카를 죽이고 피로서 이룬 세조의 왕권 세종의 뒤를 이어 적장자인 5대 왕 문종, 6대 왕 단종이 차례로 왕위에 올랐습니다. 문종은 30년 동안 왕세자 자리에서 아버지 세종을 도와 큰일을 담당했습니다. 그러나 문종은 세종을 많이 닮았고 병약한 몸까지 닮았습니다. 앉아서 유학과 학문에만 몰두해 약한 몸이 더 쇠약해져 병을 얻었는데 세종이 승하한 후 삼년상을 치르며 몸 상태가 악화합니다. 세종은 문종 이외의 다른 아들들에게도 정치적 입지를 다질 기회를 주었는데 오히려 불행의 씨앗이 되고 말았습니다. 문종은 문무를 겸비하고 용맹하며 야심이 많은 바로 아래 동생 수양대군이 자신의 어린 아들 단종을 위협하지 않을지 늘 걱정이었습니다. 결국 문종은 12세의 어린 아들을 두고 2년의 짧은 재위 기간을 끝으로 .. 2021. 10. 6.
제4대 왕 세종 (1418~1450년) 조선 최고의 성군 세종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은 3대 왕 태종과 원경왕후 민 씨의 셋째 아들로 1418년 태종의 첫째 아들 양녕대군이 폐세자가 됨에 따라 왕세자로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22살의 나이로 왕위에 오릅니다. 즉위 초기에는 태종이 4년강 상왕 자리에 머무르며 인사와 군사권을 돌보며 정치적으로 잘 닦아 놓은 기반 덕분에 세종은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 다방면으로 업적을 쌓으며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성군이 됩니다. 세종의 재위 기간은 약 32년으로 조선의 27명의 왕 중에서 7번째로 재위 기간이 깁니다. 굉장히 오랜 기간 왕위에 머물렀는데 현재까지도 수많은 후손이 세종을 존경하고 최고의 성군이라고 칭송하고 있습니다. 세종은 위대하고 훌륭한 왕이었습니다. 위대하고 훌륭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 2021. 10. 6.
제3대 왕 태종 (1367년~1422년) 조선 유일하게 과거에 급제한 똑똑한 왕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은 1367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왕조교체를 반대하는 정몽주를 제거하는 등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지만, 막내 이복 동생에게 후계자 자리를 빼앗기는 굴욕을 겪습니다. 결국 1차, 2차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정종에게 왕위를 물려받아 1400년 3대 왕 태종이 됩니다. 불같은 성격에 난을 두 번이나 일으킨 태종은 공부와는 거리가 멀게 느껴지지만, 조선의 27명 왕 중에 유일하게 과거에 급제한 왕입니다. 고려말 우왕 9년에 과거시험에서 7등으로 급제합니다. 태조 이성계는 전쟁에서 인정받으며 성장했지만 공부를 못했다는 것이 콤플렉스였습니다. 고려 시대 과거는 가문의 권세에 힘입어 채용되는 제도였습니다. 관직에 오르기.. 2021.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