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왕조500년22

제22대 왕 정조(1776~1800년) 역적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 이산은 21대 임금 영조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사도세자이고 어머니는 혜경궁 홍 씨입니다.정조가 11세 되던 해 사도세자가 노론 세력 힘으로 뒤주에 갇혀 죽었습니다. 영조가 사도세자를 세자의 신분으로 죽일 수 없었기 때문에 뒤주에 가두기 전 일반 평민 신분으로 폐했고, 왕을 죽이려 했다는 죄를 물어 역적으로 몰아 죽였습니다. 따라서 아들 이산은 역적의 아들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이산은 세손의 지위를 잃고 궁 밖으로 쫓겨납니다. 하지만 영조의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왕위 계승자가 필요했습니다. 역적의 자식을 후계자로 삼을 수 없기 때문에 요절한 효장세자의 양아들로 입적하여 왕세손 교육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영조는 세손 이산을 무척 아끼고 예뻐했습니다. 아버지 사도세자와.. 2021. 10. 7.
제21대 왕 영조 (1724~1776년) 천민 무수리의 아들, 왕이 되다. 조선 19대 임금 숙종과 무수리 출신 숙빈 최 씨의 아들로 이복형 경종의 후계자로 왕세자에 책봉되어 노론의 지지를 기반으로 왕위에 오릅니다. 조선의 최장수 왕, 재위 기간 최장 기록을 세운 왕으로 52년 재위하고 83세의 나이로 승하합니다.숙종이 살아있을 때 이복형인 경종이 숙종의 장자로서 오랫동안 왕세자 자리를 지켰기 때문에 영조는 후계자로 지목되지 않았습니다. 영조는 어릴 때부터 왕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 생각하고 궁궐 밖에서 백성들과 함께 어울려 자랍니다. 그런 덕분인지 영조는 검소하고 백성을 아끼는 왕이었습니다. 영조는 즉위 초반부터 엄청난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의 어머니가 궁녀들의 옷을 빨아주는 무수리였기 때문입니다. 조선은 유교 사회이기 때문에 왕의.. 2021. 10. 7.
제19대 왕 숙종 (1623~1649년) 조선 최고의 금수저, 3대 적통자 숙종 18대 임금 현종과 명성왕후 김 씨의 적장자이자 외아들로 14세에 왕위에 오릅니다. 현종은 조선의 왕들 중 유일하게 후궁을 두지 않고 왕비도 한 명만 둔 왕이었습니다. 그 때문에 숙종에게는 이복동생들이 없고 현종의 자녀 1남 3녀 중 유일한 아들이자 장남이었습니다. 숙종은 6세에 세자에 책봉되고 14세에 왕위에 오를 때까지 순조로웠습니다. 보통 20세 이전에 왕이 되면 수렴청정을 하는데 숙종은 바로 정치를 시작합니다. 3대에 걸친 적통자로서 역대 왕 중에서도 입지가 단단한 상황에서 숙종은 어린 나이에도 자신감을 가지고 대범하게 정치할 수 있었습니다. 원로 송시열을 누른 젊은 임금 숙종은 불같은 성격이었으며 온몸에 화가 가득했다고 합니다. 성격도 아주 괴팍하여 어머니.. 2021. 10. 7.
제16대 왕 인조 (1623~1649년) 인조와 서인 정권의 반정 인조는 제14대 왕 선조의 손자로 선조와 후궁 인빈 김 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원군의 첫째 아들입니다. 왕위에 오르기 전의 이름은 능양군이며 광해군과 인조는 삼촌과 조카 사이입니다.광해군은 왕위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을 죽이고 새어머니 인목대비를 덕수궁에 가두었는데 광해군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자신과 같은 후궁의 자녀들에게도 적개심을 보입니다. 당시 정원군의 집터가 왕의 기운이 서린 곳이라는 말을 듣고 그 집안을 풍비박산 내버립니다. 이후 인조(능양군)의 동생은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자결하고 아버지 정원군은 화병으로 세상을 떠납니다. 능양군은 광해군에게 복수하려는 마음을 품고 있던 중 광해군의 중립외교를 반대하는 서인세력과 힘을 합쳐 광해군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르게 됩.. 2021. 10. 7.
반응형